메이차(莓茶)는 포도과 식물의 잎으로 만든 차로, 가공 후 특유의 베리 향이 나기에 메이(莓:베리) 차(茶:차)라는 이름으로 불린다. 중국 남부의 산악지대에서 자라며, 특히 후난성 장가계(张家界) 지역에서 생산된 메이차가 가장 유명하다.

🌿 장가계 메이차가 특별한 이유
자연 환경

- 장가계는 무릉산맥(武陵山脉)에 위치하며, 고온다습한 기후와 미네랄이 풍부한 토양을 갖추고 있음
- 장가계 지역에서 자란 메이차는 항산화 성분(플라보노이드)이 풍부함
풍부한 디히드로미리세틴(DHM)
- 메이차의 핵심 성분인 디히드로미리세틴(Dihydromyricetin, DHM) 은 간 건강 보호, 항산화,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과가 있음
- 장가계에서 생산된 메이차는 DHM 함량이 40% 이상으로 특히 높음
장가계의 소수민족, 토가족에게 사랑받는 차
- 장가계에 거주하는 토가족(土家族) 등 소수민족은 예로부터 메이차를 ‘장수차(长寿茶)’라 부르며 즐겨 마심
- 전통적으로 노동 후 피로 해소를 위해 마시거나, 귀한 손님을 맞이할 때 대접하는 차로 사용
☕ 메이차의 맛과 효능

✅ 맛: 맑은 황금빛 차탕, 은은한 베리향과 자연스러운 단맛이 특징. 처음엔 약간 떫은맛이 나지만, 곧 부드럽고 달콤한 뒷맛이 남는다.
✅ 주요 효능:
- 간 해독 & 숙취 해소: DHM 성분이 알코올 분해를 도와 간을 보호한다.
- 항산화 효과: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노화 방지 효과가 뛰어나다.
- 혈당 & 콜레스테롤 조절: 혈중 지질을 낮추고 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.
3줄 요약
- 맑고 황금빛을 띠는 차탕에 은은한 베리향과 자연스러운 단맛이 특징이며, 떫은맛 뒤에 부드러운 단맛이 남는 것이 매력이다.
- 장가계 메이차는 무릉산맥의 청정 환경에서 자라며, 디히드로미리세틴(DHM) 함량이 높아 간 해독, 항산화, 혈당 조절 등에 효과가 있다.
- 토가족 전통에서 유래한 장수차로, 국내 지리적표시제와 유사한 중국 정부의 지리표시산품(GI)을 받아 장가계 대표 특산물로 자리 잡았다.
#장가계, #메이차, #중국차, #무릉산맥, #디히드로미리세틴, #항산화, #간해독, #숙취해소, #장수차, #토가족, #지리적표시제, #莓茶, #지리표시산품